2. 사업의 개요 및 기초자료 분석
- 사업의 배경, 목적, 필요성(needs) 및 기대효과
- 지역현황(자연환경, 사회・경제, 유사 시설 현황 등)
- 관련 법률 및 계획의 검토
- 현장실사 결과 및 관계자 면담결과
3. 쟁점 도출 및 조사방향 설정
- 사업의 특성 분석(물리적 요소, 활동 등)
- 사업의 영향권(impact area) 설정
- 이해관계자(stakeholder) 및 편익수혜자(beneficiaries) 규정
- 쟁점 도출 및 조사방향 설정
4. 사업계획 검토
- 시설계획 및 기술적 검토
- 총사업비 추정
- 수요 추정 및 규모의 적정성 검토
- 대안 및 시나리오 설정
5-1. 경제성 분석
- 경제적 비용 추정
- 편익 추정
- 경제성 분석(비용효과 분석)
- 민감도 분석
5-2. 재무성 분석
- 재무적 비용 추정
- 수입 추정
- 재무성 분석(운영수지 분석)
- 민감도 분석
5-3. 정책적 타당성 분석
- 법·제도적 부합성
- 사업의 준비정도 및 추진의지
- 사업목적 달성 가능성
- 지방재정에 대한 영향 검토
- 사업의 시급성 및 지역발전 측면에서의 부합성
- 지역사회/주민/이해관계자 수용성
- 기타 사업별 특수 평가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