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필요성
부산광역시는 전체 면적의 절반가량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고 도심을 중심으로 길게 이어진 도로체계로 인해 교통량 처리에 취약한 구조임
교통량 증가와 항만 화물 수송 차량의 도로 통과로 교통 체증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시는 1997년 신호대교를 시작으로 해안순환도로망을 推進해왔음
2010년부터는 지능형교통체계(ITS)를 도입하여 기반확충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부산시는 스마트 교통플랫폼 구축을 통해 도시 교통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함 추진내용
스마트교차로 시스템은 CCTV 영상을 활용해 딥러닝 기반의 AI 알고리즘으로 교통정보를 분석하는 객체 인식 기술을 포함함
스마트교차로의 기술을 발전시켜 스마트 감응신호 제어, 터널 관리시스템, 최적신호 산출 알고리즘 등을 개발하고 있음
전국 지자체들은 스마트교차로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인정하고 ITS 사업을 통해 구축하고 있음
부산시는 교통량, 속도, 교차로 서비스 수준 등을 분석해 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플랫폼 시스템을 구축함
경찰청 및 소방 등과 연계하여 돌발상황 대응 및 효율적인 통합 관제를 목표로 하고 있음. 스마트교차로를 통한 실시간 신호 제어와 신호 정보 개방을 통해 민간 서비스와 정보 교류를 확대하고 자율주행에 대응하는 교통안전 기반을 마련하고 있음 정책효과
부산광역시는 스마트교차로 기반 서비스 개발을 통해 교통 효율성을 개선하고 비용 절감을 이끌어내고 있음
기존의 수동 교통조사 방식에서 벗어나 객체 인식 기술과 교통 이론을 기반으로 실시간 자동 집계 및 분석 체계를 마련하여 조사용역비용을 절감하고 있음
스마트 교통플랫폼의 고도화는 교통정보 수집 장치를 통해 승용차요일제 및 교차로 실시간 신호 제어와 민간 서비스와의 정보 교류를 통해 비용 절감 및 불편 민원을 해소함
교통정보를 경찰청과 연계하여 범죄 대응에 기여하고 해상교량 중심의 관제 체계 강화를 통해 교통 소통과 돌발상황 관리 능력을 향상시킴
실시간 신호 최적화는 교통 흐름 변화를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도로 소통 상황을 개선하고 자율주행차와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신호정보를 개방하여 미래 교통 환경에도 대응할 수 있음
스마트 교차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통해 실시간 신호 정보 개방, 신호 제어 등의 교통혼잡 개선 효과를 도출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