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필요성
재난·안전 정책이 행정 중심에서 시민 참여형으로 전환되는 가운데, 민관 협력 기반의 안전문화 확산이 중요 과제로 부각됨
연령, 계층, 생활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안전 정보와 교육에 대한 세분화된 대응 필요성이 커짐
시민 접근성이 높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안전 정보 전달 체계 구축이 요구되며, 기존 공공광고 및 홍보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함 추진내용
시민 주도 안전문화단체들('안전모니터봉사단', '안전보안관' 등)과 적극적으로 협업하여 '민관이 함께하는
안전문화운동'을 추진함
어린이 스스로 학교 주변 안전신고 등에 참여하는 '어린이 안전히어로즈'를 선도적으로 추진, 전국 최대 규모로
히어로즈를 모집('24. 6월 시장 주재 발대식 개최)함
다양한 안전문화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부산형 안전문화운동 실천과제」 25개를 마련함 정책효과
SNS, 공익광고 등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안전홍보를 실시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시민안전교육
활성화'를 목표로 안전교육 전문인력 양성과 체계적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추진함
「부산형 안전문화운동 실천과제」 25개를 마련하고, 시민 주도 안전문화단체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하는 '민관이 함께하는 안전문화운동'을 추진함
'어린이 안전히어로즈', '안전실천캠퍼스' 등 정부 안전문화 정책 및 제도를 선도적으로 추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