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발간물

정책우수사례

빅데이터 효자손으로 긁어드립니다. 지역이 균형있게 발전하도록

연도 2023 기관분류 지방자치단체
시도 충청남도 시군구 예산군
발행기관 행정안전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수상내역
사례유형 지방행정 자료출처 공공부문 데이터 분석. 활용 우수사례집Download
키워드 #예산군# 구도심 공동화 현상# 지역균형# 지역격차 링크 https://www.innovation.go.kr/ucms/bbs/B0000003/view.do?nttId=15931&menuNo=300200&pageIndex=

배경 및 필요성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구도심 공동화 현상은 점점 심화하고 있음
특히, 충청남도 예산군(이하 예산군)의 인구는 2000년 101,660명에서 20년 만에 80,114명으로 20,000명 넘게 줄어듬
인근 내포신도시가 분리 성장하면서 생활 SOC의 지역 불균형 현상이 발생해 지역 간 시설 보유 격차, 접근성 취약과 같은 문제점이 커지고 있음

추진내용

첫 번째 분석데이터 수집 단계에서는 생활 SOC 분석에 필요한 시설 목록과 위치 등의 예산군 내부 데이터와 SKT 유동 인구 등의 외부 데이터를 확보함
탐색적 데이터 분석으로 GIS 기반의 분석 격자(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총인구 수 격자지도 적용)를 생성해 예산군 전체 지역의 인구수, 생활 SOC 개수 등 항목별로 통계 분석을 수행함
분석모형 개발단계에서 예산군 내 전체 읍·면을 대상으로 도시쇠퇴 분석과 생활 SOC 결핍 지수를 평가함
'결과 활용 단계'에서는 생활 SOC 입지 분석 결과를 GIS 기반으로 시각화하여 구현하였으며, 생활 SOC 시설과 시설별 입지 영향 요인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

정책효과

예산군은 지방 신도시 현안 해결을 위한 지역 균형 발전 모형을 개발함에 따라, 향후 12개 생활 SOC 관련 사업을 추진할 때 이번 분석모델을 공유하여 입지 선정과 분석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예정임
혁신전략팀의 구도심 재생 시설 계획에 반영하여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특화 거리·구역 조성을 위한 객관적인 근거자료로도 활용될 것임
예산군 2030 계획과 내포신도시 확장 기본구상 및 타당성 연구용역 결과에 객관적인 근거를 접목하여 예산 낭비를 최소화하고, 심화하는 구도심 공동화 현상을 극복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하리라 기대됨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 안내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원은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를 위해 정보활용 목적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 제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유의사항

본 자료의 저작권은 발행기관에 있으므로, 해당 저작물의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과 관련한 사항은 발행기관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활용

다운로드
레이어 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