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발간물

정책우수사례

데이터 분석으로 주민의 안전을 찾다! 울주형 재난관리시스템

연도 2023 기관분류 지방자치단체
시도 울산광역시 시군구 울주군
발행기관 행정안전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수상내역
사례유형 재난안전 자료출처 공공부문 데이터 분석. 활용 우수사례집Download
키워드 #재난관리모델# 재난대응# 지오코딩# 울주군 링크 https://www.innovation.go.kr/ucms/bbs/B0000003/view.do?nttId=15931&menuNo=300194&pageIndex=

배경 및 필요성

울산광역시는 2016년 태풍 '차바'로 인명, 재산 피해가 컸고 크고 작은 규모의 지진도 계속 발생해 재난 대비·대응이 중요해짐
문서에 의존하는 텍스트 위주의 재난대응 매뉴얼 체계로는 직관적인 상황판단이나 대응에 한계가 있었음
대규모 인원의 대피와 이재민 관리를 위해서는 더욱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계획이 필요해짐

추진내용

울주군에서는 재난에 대비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각 다른 공간정보를 가지고 있는 행정리·법정리 기반의 지도와 지리 데이터를 다듬어(공간다 듬이 사업)최신의 공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
공 공데이터포털, 빅데이터포털, 국립재난 안전연구 원,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데이터를 모았으며,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 및 지도,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 등도 적극적으로 활용함
데이터를 지오코딩을 이용하여 그룹 분류, 공간 정보화 및 데이터 중첩 등의 전처리 작업을 함께 수행함
분석과정을 통해 울주군의 안전취약계층지수와 이재민구호소의 접근성, 수용률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지역마다 재난대응을 해야 할 중점이 달라야 함을 알게 됨

정책효과

울주형 재난관리모델은 안전취약계층을 하나로 묶지 않고 노령층, 미취학아동, 장애인 등으로 세부 분류하여 지역별 취약계층 분포도를 분석한 후, 재난 대응 대책을 좀 더 체계적이고 지역 실정에 맞게 수립했다는 데 의의가 있음
울주군은 향후 재난관리모델을 통해 드러난 재난 대응 사각지대 및 인프라 우선 구축지역, 집중 관리지역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할 계획임
재난관리모델을 고 도화하여 스마트 방사 능 방재 시스템에 탑재하여 다양하게 활용하면서 대민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예정임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 안내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원은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를 위해 정보활용 목적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 제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유의사항

본 자료의 저작권은 발행기관에 있으므로, 해당 저작물의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과 관련한 사항은 발행기관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활용

다운로드
레이어 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