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발간물

정책우수사례

그랜빌 아일랜드 개발 사례

연도 2023 대분류 북아메리카
국가 캐나다
발행기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상내역
사례유형 지역 및 도시 자료출처
키워드 #이전적지 개발# 퍼블릭 마켓# 지역 먹거리# 지역사회 협력# 공공공간 링크 https://krila.re.kr/report/issue_form.php?idx=1811&&page=1&completion=yes&list_type=list&page=1&list_type=list

배경 및 필요성

그랜빌 아일랜드는 1910년대 밴쿠버에 항구와 산업 용도로 조성된 인공 섬으로 1930년대에는 산업단지로 발전했으나 대공황으로 쇠퇴함
그 후 제2차 세계대전 때 군사 방위 장비 생산을 통해 부흥했으나 종전 이후 다시 쇠퇴하고 연이은 화재 발생으로 황폐화됨
1970년대 캐나다연방정부주택청은 방치된 그랜빌 아일랜드를 새로운 도시기능에 부합하는 ‘사람을 위한 공간’으로 재편을 시작함

추진내용

그랜빌 아일랜드 재생은 1973년부터 약 50년에 걸쳐 장기적으로 추진 중이며 원주민과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해 쇠퇴한 산업단지를 창의적인 도시 및 사회 실험장소이자 지속 가능한 시민 친화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1975년부터 기존의 방치된 공장 건물 등을 시장, 상점, 레스토랑 등 새로운 기능에 맞게 리모델링하였고, 1978년에 퍼블릭 마켓이 개장하면서 활력 있는 공간으로 재편됨
그랜빌 아일랜드의 장기 발전계획인 Granville Island 2040(GI 2040)의 혁신, 지속가능성, 소통/협력 3대 기본방향에 따라 그랜빌 아일랜드의 접근성 증진, 퍼블릭 마켓지구 확대 조성, 예술 및 혁신의 수용, 공공영역 회복의 4대 전략을 추진함

정책효과

그랜빌 아일랜드는 캐나다 벤쿠버에 방치된 산업 공간을 지역 먹거리 거점이자 문화예술 기반의 활력 있는 공간으로 재편한 사례임
물리적 측면에서 그랜빌 아일랜드는 산업 유산을 보전하여 보행 친화적이고 풍부한 공공공간을 확충하였고 장기적 시각에서 주차장을 개발 유보지 및 실험공간으로 적극 활용함
기능적 측면에서 그랜빌 아일랜드는 시장과 문화예술 중심의 복합기능을 도입하고, 퍼블릭 마켓을 통해 지역 먹거리 접점 조성과 지역경제 선순환구조 구축을 도모함
사회적 측면에서 원주민과 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사회적 지속성을 확보하고,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협의체를 통한 개발전략 수립 및 이행을 통해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도모함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 안내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연구원은 정책우수사례집 다운로드를 위해 정보활용 목적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연구원 국내외 정책우수사례 제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유의사항

본 자료의 저작권은 발행기관에 있으므로, 해당 저작물의 상업적·비상업적 이용과 관련한 사항은 발행기관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활용

다운로드
레이어 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