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지방자치 관련분야의 지식교류를 위하여 자치행정, 지방재정ㆍ세제, 지역개발분야의 수준 있는 연구 논문들을 기고 받아 발간합니다.
분류
지방행정연구 제34권 제1호 통권 120호 2020.3
구분
기고논문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충청북도 농촌중심지 계층에 관한 연구
- 7,434
- 2,917
저자 |
심재헌, 이세규, 이은미, 마상진 |
---|---|
발행일 |
2020.03.31 |
권 |
제34권 제1호 |
통권 |
120호 |
다운로드 |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충청북도 농촌중심지 계층에 관한 연구 |
농촌인구의 감소로 인해 농촌중심지 정주체계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변화가 예상된다. 농촌 지역에 적합한 정주체계를 새롭게 정비하여 기초생활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 같은 상황에 맞는 농촌중심지의 중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지수를 개발하여, GIS 공간분석을 활용해 충청북도 농촌 지역에 대한 중심지 계층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분석결과는 충청북도 농촌중심지와 배후지역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농촌중심지와 배후지역에 대한 계획수립의 정책 마련을 위한 판단근거로 활용하고자 한다.
충청북도의 농촌중심지 정주체계는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제1계층 1개 지역, 제2계층 다수 지역, 배후지역은 다수 지역으로 구성된 유형으로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이었다. 제2유형은 제1계층 1개 지역, 배후지역 다수 지역으로 구성된 유형으로 청주시, 충주시, 진천군, 음성군, 단양군이었다. 제3유형은 제1계층 1개 지역, 제2계층 다수 지역이나, 배후지역이 없는 유형으로 제천시이었다. 제4유형은 제1계층이 1개 지역과 제2계층이 없는 배후지역으로 구성된 증평군과 괴산군이었다.
정책적 시사점은 인구감소에 따른 새로운 정주체계에 맞는 농촌중심지와 배후지역을 설정하여 기초생활서비스 기능과 역할을 변화하는 지역의 상황과 여건에 적합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지방행정연구 제34권 제1호 통권 120호
The Role of State Expenditure and Accumulated Experience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Green Energy Policies
Lim Taekyoung
지방행정연구 제34권 제1호 통권 120호
도농교류의 지불가치 추정 연구: 서울시-농협의 ‘도시가족 주말농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강현
지방행정연구 제34권 제1호 통권 120호
삶의 질과 사회적 연결망: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공공정책부문 효과분석
김상민, 김현호, 이성원
지방행정연구 제34권 제1호 통권 120호
지역상생발전기금 성과분석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한재명, 하능식, 이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