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지방자치 관련분야의 지식교류를 위하여 자치행정, 지방재정ㆍ세제, 지역개발분야의 수준 있는 연구 논문들을 기고 받아 발간합니다.
분류
지방행정연구 제30권 제1호 통권 104호 2016.3
구분
통합본
지니계수를 활용한 지역의 행복불평등 수준 분석:서울시 25개 자치구 행복불평등지수 산출
- 5,565
- 5,570
저자 |
서 인 석**⋅우 창 빈***⋅기 영 화** |
---|---|
발행일 |
2016.03.31 |
권 |
제30권 제1호 |
통권 |
104호 |
다운로드 |
지니계수를 활용한 지역의 행복불평등 수준 분석:서울시 25개 자치구 행복불평등지수 산출 |
ʻ행복에도 불평등이 존재하는가ʼ라는 다소 도발적인 질문을 던지며, 본 연구는 과거의 생산중심에서 강조하였던 소득분배 및 불평등에서 해소에서 행복분배 및 불평등의 해소로 관점을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가 실제로 나타나는지 서울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경험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행복불평등과 소득불평등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일반적으로 소득불평등과 행복불평등 간의 상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는 Stevenson and Wolfers(2008)와 Becchetti, Massari, & Naticchioni(2011)의 연구결과를 일견 지지하였으나 행복불평등의 상위 자치구들에서 소득불평등 순위가 높게 나타났기에 이 소수사례들에 대한 심층연구가 더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둘째, 소득불평등의 격차에 비해 행복불평등의 격차가 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의 경우 소득으로 인한 개선보다 행복과 관련된 요소들을 확인하고 개선시키는 것이 더 시급한 것일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본 연구는 다른 연구와 달리 국가간 연구가 아닌 국가 내 지역의 비교 연구로 다루었고 그들의 행복불평등 격차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특히, 서울시 내의 자치구 내에서도 행복불평등은 존재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 차이가 다소 컸음을 확인함으로써 각 지자체 및 시도 단위에서는 지역내의 기초자치단체의 소득불평등 뿐 아니라 행복불평등을 평가하고 그에 맞춰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었다.
□ 주제어: 지역의 행복불평등, 지니계수, 지역의 소득불평등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지방행정연구 제30권 제1호 통권 104호
지역발전 패러다임 연구
소 진 광
지방행정연구 제30권 제1호 통권 104호
도시공동체의 주민자치와 사회자본: 입주자대표회의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 순 은**⋅권 보 경***
지방행정연구 제30권 제1호 통권 104호
수도권 규제 완화에 따른 지방정부의 지역경제성과에 미친 효과 분석*:경기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현 승 현**
지방행정연구 제30권 제1호 통권 104호
기초자치단체 행정서비스에 대한 상대적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특별시 및 광역시 소속 69개 일선구청을 중심으로
정 재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