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Close Button
지방행정연구
메뉴 더보기 메뉴 더보기

논문

알림

지방자치 관련분야의 지식교류를 위하여 자치행정, 지방재정ㆍ세제, 지역개발분야의 수준 있는 연구 논문들을 기고 받아 발간합니다.

분류
지방행정연구 제26권 제3호 통권 90호 2012.9
구분
기고논문

사회적 자본과 거버넌스 차원에서 본 새마을 운동

search 7,177
download 2,765
저자
임경수
발행일
2012.9.30
제26권 제3호
통권
90호
다운로드
사회적 자본과 거버넌스 차원에서 본 새마을 운동download
이 연구의 목적은 새마을운동의 실천적 과정에서 잠재되어 있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을 추출, 지역사회 단위에서의 거버넌스 행태와 그 특성을 밝혀 향후 새마을운동의 발전적 정책방향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내에 잠재되어 있는 주민의 가치체계를 사회적 자본(참여, 신뢰, 네트워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가치체계가 개인 및 집단행동으로 나타나게 하는 동태적 역학관계를 거버넌스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새마을운동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이 다수 있지만 새마을운동을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거버넌스라는 두 개념으로 재해석하고자 한 것은 흔치 않았다. 최근에 부상하고 있는 글로벌 새마을운동의 성공적 전개를 위해서는 세계인이 공유할 수 있는 가치체계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 글로벌 새마을운동이 보편적 개발전략으로 각국에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경험한 새마을운동의 본질적 가치가 훼손되지 않으면서도 세계 각국에 통용할 수 있는 개발가치가 필요한데 필자는 이를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거버넌스 두 개념이라고 보았고 이를 통해 70-80년대의 새마을운동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새마을운동의 성공에는 마을단위의 참여, 신뢰, 그리고 네트워크가 전통적인 농촌마을의 면대면 사회구조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고 이는 두레, 품앗이 등과 같은 전통적 협업 속에 사회적 자본 요소가 내재되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거버넌스는 민・관협력에 의한 비교적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새마을운동에 참여하였던 지도자들은 대부분 이 운동이 앞으로도 세대를 뛰어넘어 지속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갖고 있었다. 이런 면에서 새마을운동이 시대적 압박에 의해 이루어진 면이 있다고 해도 새마을운동 속에 내재하는 기본 철학, 즉 근면, 자조, 협동의 가치는 순수하게 농촌주민들에게 받아들여졌고 지금도 이러한 가치는 국민들에게 유전되고 학습되는 가치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