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역발전>지역문화
기본보고서
지역 브랜딩 활용 실태와 실행전략 연구
visibility 47,757 file_download 14,372
영문제목 | A Study on Implementing Place Branding of Local Government |
---|---|
연구자 | 이소영 |
발간연도 | 2008 |
다운로드 | 지역 브랜딩 활용 실태와 실행전략 연구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본 과제는 지방자치단체의 브랜드 전략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자치단체의 브랜드 전략의 실태를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기서는 지역과 유리된 중앙의 기업이 자치단체의 브랜드를 개발하고 있으며, 브랜드 전략이 단순한 로고의 개발 식으로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는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브랜드 전략에 대한 심층연구를 수행하였다. 브랜드의 난립, 브랜드 추진 조직의 부재 등이 가장 큰 문제로 부각되었다.
실태분석을 토대로 본 과제는 산발적, 난립적 브랜드 전략의 추진을 지양하는 대신, 자치단체별로 통합적인 브랜드 전략의 수립, 브랜드 전략의 전담추진 기구의 구성, 브랜드 전략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전략을 위한 상징공간의 조성 등 하드 브랜드 전략을 개선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자치단체의 브랜드 전략의 실태를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기서는 지역과 유리된 중앙의 기업이 자치단체의 브랜드를 개발하고 있으며, 브랜드 전략이 단순한 로고의 개발 식으로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는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브랜드 전략에 대한 심층연구를 수행하였다. 브랜드의 난립, 브랜드 추진 조직의 부재 등이 가장 큰 문제로 부각되었다.
실태분석을 토대로 본 과제는 산발적, 난립적 브랜드 전략의 추진을 지양하는 대신, 자치단체별로 통합적인 브랜드 전략의 수립, 브랜드 전략의 전담추진 기구의 구성, 브랜드 전략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브랜드 전략을 위한 상징공간의 조성 등 하드 브랜드 전략을 개선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More and more cities and regions rely on place marketing, in particular, place branding to attract investors, visitors and residents. Place marketing application is largely dependent on the construction,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the place's image, therefore the object of place marketing is the place's image, which in turn isthe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the place's brand.However, the transfer of marketing and branding knowledge to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f place like city and region proves a cause of difficulties and misalignments, mostly due to the peculiar nature of places in general. Considering this limitation,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implement place branding of local government as the appropriate way.In this study, following the introduction, chapter 2 deals with theoretic discussions and explains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place brand and place branding in contrast to product brand and product branding and also the process of the brand management model of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strategic brand management.Chapter 3 examines and analyzes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place branding in the local governments in Korea. For this, contents analysis of Internet homepages of 246 local governments is conducted.In chapter 4, I do case studies with four local government: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ounggi Province in upper level local government and Ansung city in Gyounggi Province and Sangju city in Gyoungsang Province in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Through this, the performances and problems of implementation of place branding in Korean local governments can be lightened.Chapter 5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the overseas cases of place branding in USA, UK and Singapore understanding their success factors and policy considerations.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place branding in Glasgow in UK gives us significant implications.In Chapter 6, I set up a model of place branding process based on the strategic brand management. It consists of (1) the development of place brand identity (2) the construction of place brand architecture (3) the implementation of hard branding (4) brand communication programme (5) place brand equity evaluation and feedback.And I suggest that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each proces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trategic position of local governments.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