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Close Button
연구보고서
메뉴 더보기 메뉴 더보기

기본연구과제

알림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방자치>지방행정구역

기본보고서

협력적 행정서비스 전달을 위한 광역행정체제 연구

visibility 43,089 file_download 4,748

영문제목 Inter-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for Public Service Delivery: Service Delivery Alternatives
연구자 강인성
발간연도 2007
다운로드 협력적 행정서비스 전달을 위한 광역행정체제 연구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 영문요약expand_more


  
  
   지방자치의 성숙기에 들어선 우리의 지방자치의 흐름 속에서 민주성과 효율성의 조화를 강조하는 광역행정이 이전과 다른 시각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조명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제도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제도발전의 중요한 한 축이라 할 수 있는 광역행정체제를 협력적인 행정서비스 전달의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이 연구는 먼저 기존 광역행정체제의 전반적인 개요와 운영상황과 문제점, 광역행정사업에 대한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에 실증적 차이, 그리고 기존 광역행정체제의 문제점 보완 및 발전을 위한 대안체제의 도입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비롯되었다. 이 연구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서 먼저, 광역행정의 의의 및 필요성 배경을 소개하고 광역행정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광역행정체제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외국의 광역행정체제의 사례분석과 시사점 도출을 통한 대안체제를 모색하였다.
   이론고찰, 현황분석, 그리고 외국사례분석을 바탕으로 현행 광역행정체제의 현황적 실증분석과 대안 광역행정체제에 대한 실증적 인식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실증분석은 245개 광역과 기초지방자치단체 광역행정담당 공무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루어졌다.
   현황적 실증분석에서 광역자치단체가 기초자치단체에 비해서 광역행정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고 비용절감, 자치단체간 분쟁/갈등해소, 행정서비스의 효율성 증대 등을 광역행정사업 추진 동기로 보았다. 또한 광역행정의 성공요인으로 권한 및 이해관계의 명확화와 자치단체장 및 공무원의 적극적인 의지와 태도가 중요하다고 하였고, 장애요인으로 권한 및 이해관계의 축소 그리고 협력지자체에 대한 신뢰부족을 제시하였다. 한편, 대안 광역행정체제에 대한 인식분석에서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특별자치구를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지역간협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증조사분석을 중심으로 광역과 기초자치단체의 차이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정책건의를 할 수 있다. 자치단체장 및 관련 공무원의 인식전환, 자치단체간 협력사업관련 정보, 지식교류의 활성화, 재정지원수단의 강화, 광역행정체제의 법제도적 보완, 새로운 광역행정체제의 도입검토, 그리고 지역거버넌스의 협상과 조정 강화 등을 광역행정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한 정책추진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As local autonomy reaches its full growth in Korea, there is renewed interests in inter-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which emphasizes the harmony between democracy and efficiency. This study focused on inter-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in that it may obtain variety and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as well as develop local government institutions.
   We review current operation situation and problems, empirical difference between provincial/metropolitan government and city government, and possibility of adopting alternative service delivery. For this, first of all,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significance and need of inter-local government with various theories. In addition, we analyze current management and problems of inter-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and study foreign inter-governmental cases. Based on theory and practice of inter-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we tried to find alternativ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inter-local government.
   With theoretical framework and case study, we do empirical study on current and alternative inter-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As for the empirical study, we survey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take charge of inter-local collaboration in 245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empirical study, we found that provincial/metropolitan government have more preference for inter-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Their motivation of inter-local government collaboration is cost saving, conflict resolution, and efficiency increase. For success of collaboration, it is important to clarify benefit and authority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have government leaders who have a strong will and attitude toward inter-local collaboration. In addition, obstacles of collaboration are reduction of power and benefit and lack of confidence between local governments. Meanwhile, provincial and metropolitan governments prefer to special district and city government to inter-local agreement among the alternative service delivery systems.
   Finally, we suggest some policy recommendations. Following recommendations would be important considerations to adopt and develop inter-local government policies: attitude change of government leaders and officials, collaboration project inform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ctive knowledge sharing, financial support,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adoption of alternative service delivery, and negotiation and coordination in local governance.

list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