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Close Button
연구보고서
메뉴 더보기 메뉴 더보기

기본연구과제

알림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방자치>지방의회

기본보고서

지방의회 주민참여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visibility 17,692 file_download 1,053

영문제목 Development of a Model and Vitalization Plans for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ouncils
연구자 김지수, 김건위, 고경훈, 주희진
발간연도 2022
다운로드 지방의회 주민참여 모델 개발 및 활성화 방안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 영문요약expand_more

본 연구는 2022년 1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 시행에 따른 지방의회의 권한과 역할 확대가 예견되는 가운데, 지방의회 주민참여 활성화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먼저 지방의회 주민참여의 필요성에 대한 3가지 관점(대의민주주의 한계 극복의 대안으로써의 관점, 풀뿌리민주주의에 근거한 주민자치 관점, 정부-주민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수용성·신뢰성 제고의 관점)을 제시하고, 지방의회의 기능과 역할, 주민참여의 유형 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지방의회 주민참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지방의회 주민참여와 관련된 법제도와 운영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현행 지방의회 주민참여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법제도적 차원에서 주민의 기본권리와 의장의 역할에 대한 법 개정을 통해 지방의회의 주민참여에 대한 역할을 확대하는 기반 마련이 필요하며, 지방의회에 대한 청원 방법 개정을 통해 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조직·인력·재정 차원의 제도개선의 방안을 통해 지방의회 주민참여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지방의회 주민참여에 대한 초기연구임을 고려하여 다양한 사례에 대한 분석 및 소개에 집중하였다. 미주의원연맹의 의정프로세스 전 과정에서의 주민참여 사례는 국내·외 다양한 지방의회 주민참여 사례를 종합하여 각 지역이 지역 상황에 맞게 조합·활용할 수 있는 모듈형 지방의회 주민참여 모델을 개발·제시하는 기틀이 되었다.
   또한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해 보다 높은 수준의 e-청원시스템의 개발과 주민e직접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직접적인 주민참여의 확대 기반을 모색하였다. 지역의 상황에 따라 온·오프라인 주민참여제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현행 의정모니터 등의 운영개선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활발한 주민참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지방의회 주민참여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낮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식론 차원의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단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의 상황에 맞는 지방의회 주민참여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기관구성 다양화 등 제도적 변화 과정에서 지방의회가 어떻게 주민으로부터의 신뢰를 토대로 역할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초기 연구로써 한계를 안고 있지만, 동시에 지방의회 사무기구 직원과 전문가의 인터뷰, 다양한 국내·외 사례소개 등을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지방의회 주민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As the local councils are expected to assume greater roles and authorities in accordance with the full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implemented in January 2022,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promote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ouncils.
   To this end, three different views on citizen participation are considered, which include 1) the view which considers citizen participation as an alternative to representative democracy, 2) the view which considers citizen participation as means of forging democracy at the grassroots level, and (3) the view which considers citizen participation as a way to enhance communication between government and local residents, and by doing so, enhancing resident’s acceptability of public policy as well as trust in government.
   Additionally, a model for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ouncils is proposed, building on theories of functions and roles of the local council and types of citizen participation.
   By analyzing the legal system as well as any efforts towards reform related to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ouncils, we identify the current problems as well as challenges of citizen particip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aw on the fundamental rights of residents as well as the role of the council chairperson should be revised, in a way, to ensure strong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local governance. Moreover, we recommend that the petition process should be improved and made accessibl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plans for consideration at the organization, human resources, and finance levels, which further foster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ouncils.
   Considering that this study is an initial explorative study on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councils, it employs qualitative analysis on varying cas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uncil.
   Cases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US legislative parliamentary process and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various local councils at home and abroad are reviewed to propose a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presenting a modular local council resident participation model for use in different regions, tailored to their local contexts and specific needs.
   Moreover, several cases were analyzed to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for an ‘E-Petition system’ and a ‘Local Residents E-direct system’, which, in turn, provides a foundation for expanding opportunities for direct resident particip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an alternative way to efficiently use both online and offline resident participation systems tailored to the local situations and needs and how to improve the current monitoring system of local council activities and performance.
   Lastly, considering the low levels of awareness regarding the need for and method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uncil, ways to increase such awareness among local communities are provided.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developing various ideas of resident participation tailored to local situations from short-term and long-term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is study would help local councils develop measures to assume greater roles and responsibilities whilst building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local communities during the process of institutional change, such as diversifying the composition of the local government bodies.
   Despite its limitations as an early-stage study,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local councils by employing interviews with local council secretariats and experts as well as the analysis of various international cases.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local councils and to identify better ways to foster their participation in local governance.

list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