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방자치>지방행정일반
기본보고서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platform government)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연구
visibility 28,017 file_download 1,625
영문제목 | Strategies for Effectively Operating the Public Platform at the Local Levels |
---|---|
연구자 | 이경은, 박재희, 유란희 |
발간연도 | 2022 |
다운로드 |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platform government)의 효과적인 운영방안 연구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세계 각국의 정부들은 새로운 정보화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화 전략들을 추진해 왔으며, 최근 '플랫폼 정부'라는 개념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시민들의 복잡하고 새로운 공공서비스 요구에 대한 대응, 지역문제 해결과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방정부들 또한 지역 수준에서 다양한 공공 플랫폼들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플랫폼 정부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특성에 대한 논의는 정리되지 않고 있을뿐더러 ICT 기술을 활용한 지방행정혁신 성공 사례 또한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공공 플랫폼 실태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지역 수준의 플랫폼 정부 운영 현황에 대해 진단하고, 지역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지역 수준에서의 플랫폼 정부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플랫폼 정부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공공 플랫폼의 유형들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이론적 논의(제2장)를 검토한 결과 본 연구는 플랫폼 정부를 “정부의 내부 구성원과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방대한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고, ICT 기반의 다양한 협력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공공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열린 장(場)을 마련하는 정부”라고 정의하였다. 플랫폼 정부의 핵심 기제라고 할 수 있는 공공 플랫폼은 핵심 기능과 정책 결정 및 행정서비스의 흐름과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해볼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정보제공형 플랫폼, 정책 제안형 플랫폼, 민간 역량 중개형 플랫폼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각 공공 플랫폼 유형별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 플랫폼 활용의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제3장), 경기도의「버스정보시스템」, 서울시 은평구의 「참여의 큰 숲」, 경기도의 「배달특급」 및 「공정구매 플랫폼」 사례를 선정하여 국내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제4장). 이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플랫폼 활용 수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의 플랫폼에 대한 인식, 공무원들이 생각하는 플랫폼 성공 및 장애 요인 등을 수치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싱가포르의 'Smart Nation', 영국 런던의 'Talk London',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Amsterdam Smart City Platform' 사례를 선정하여 해외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우수 사례를 분석하였다(제5장). 또한 민간 우수 플랫폼 기업인 「당근마켓」, 「강남언니」, 「배달의민족」 담당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도 담겨 있다(제6장). 이를 통하여 공공 플랫폼과 민간 플랫폼의 다양한 성공전략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앞선 국내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운영 현황 분석과 우수 플랫폼 운영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 운영 전략 및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지방자치단체가 플랫폼 정부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전략은 조직 내부, 조직 외부, 플랫폼 특성 측면에서 나누어 제시하였다. 먼저 조직 내부 측면에서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 플랫폼 운영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을 구체화하고,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디지털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고위직급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공공 플랫폼 운영의 전문성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중장기적 인적 자원 확보 및 역량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넷째, 공공 플랫폼 운영에 적합한 조직구조를 재설계하여야 한다. 다섯째, 하위 부서 간 개방적·협력적 협업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섯째, 민간 플랫폼 및 기존 공공 플랫폼 사각지대에 역량을 집중하여야 한다. 일곱째, 공공 플랫폼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조직 외부 측면에서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관협의체를 통해 공공-민간 협력 거버너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민간 플랫폼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고민하여야 한다. 셋째, 주민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넷째, 공공 플랫폼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플랫폼 특성 측면에서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 구축 및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주민들이 공공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기 위한 유인책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플랫폼을 통한 산출물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정보제공 플랫폼에서는 주민 필요에 따른 양질의 데이터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고, 정책 제안형 플랫폼에서는 주민들의 정책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체계를 마련해야 하며, 민간 역량 중개 플랫폼에서는 민간 역량교류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를 포함한 유관 기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플랫폼 정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플랫폼 정부위원회’에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 구현을 지원하기 위한 하위 조직을 설치하여 지방자치단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공공협의체를 활용한 중앙-지방, 지방-지방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공공 플랫폼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넷째,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 구현을 위한 표준조례안을 마련하여 제공함과 동시에 과도한 규제를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메타플랫폼 및 공동플랫폼에 대한 구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공공 플랫폼의 지역 간 격차 해소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먼저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플랫폼 정부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공공 플랫폼의 유형들을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이론적 논의(제2장)를 검토한 결과 본 연구는 플랫폼 정부를 “정부의 내부 구성원과 시민들이 함께 참여하여 방대한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고, ICT 기반의 다양한 협력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공공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열린 장(場)을 마련하는 정부”라고 정의하였다. 플랫폼 정부의 핵심 기제라고 할 수 있는 공공 플랫폼은 핵심 기능과 정책 결정 및 행정서비스의 흐름과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해볼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정보제공형 플랫폼, 정책 제안형 플랫폼, 민간 역량 중개형 플랫폼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는 각 공공 플랫폼 유형별로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공공 플랫폼 활용의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으며(제3장), 경기도의「버스정보시스템」, 서울시 은평구의 「참여의 큰 숲」, 경기도의 「배달특급」 및 「공정구매 플랫폼」 사례를 선정하여 국내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제4장). 이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플랫폼 활용 수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의 플랫폼에 대한 인식, 공무원들이 생각하는 플랫폼 성공 및 장애 요인 등을 수치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싱가포르의 'Smart Nation', 영국 런던의 'Talk London',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Amsterdam Smart City Platform' 사례를 선정하여 해외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우수 사례를 분석하였다(제5장). 또한 민간 우수 플랫폼 기업인 「당근마켓」, 「강남언니」, 「배달의민족」 담당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도 담겨 있다(제6장). 이를 통하여 공공 플랫폼과 민간 플랫폼의 다양한 성공전략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앞선 국내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운영 현황 분석과 우수 플랫폼 운영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 운영 전략 및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지방자치단체가 플랫폼 정부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전략은 조직 내부, 조직 외부, 플랫폼 특성 측면에서 나누어 제시하였다. 먼저 조직 내부 측면에서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 플랫폼 운영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을 구체화하고,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디지털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고위직급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공공 플랫폼 운영의 전문성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중장기적 인적 자원 확보 및 역량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넷째, 공공 플랫폼 운영에 적합한 조직구조를 재설계하여야 한다. 다섯째, 하위 부서 간 개방적·협력적 협업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여섯째, 민간 플랫폼 및 기존 공공 플랫폼 사각지대에 역량을 집중하여야 한다. 일곱째, 공공 플랫폼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조직 외부 측면에서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관협의체를 통해 공공-민간 협력 거버너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민간 플랫폼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고민하여야 한다. 셋째, 주민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넷째, 공공 플랫폼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플랫폼 특성 측면에서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자 중심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 구축 및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주민들이 공공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들기 위한 유인책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플랫폼을 통한 산출물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정보제공 플랫폼에서는 주민 필요에 따른 양질의 데이터 및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고, 정책 제안형 플랫폼에서는 주민들의 정책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체계를 마련해야 하며, 민간 역량 중개 플랫폼에서는 민간 역량교류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를 포함한 유관 기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플랫폼 정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플랫폼 정부위원회’에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 구현을 지원하기 위한 하위 조직을 설치하여 지방자치단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공공협의체를 활용한 중앙-지방, 지방-지방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 공공 플랫폼 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넷째, 지방자치단체 플랫폼 정부 구현을 위한 표준조례안을 마련하여 제공함과 동시에 과도한 규제를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메타플랫폼 및 공동플랫폼에 대한 구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공공 플랫폼의 지역 간 격차 해소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As digital transformation accelerates rapidly, national governments have been pursuing various informatiz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new informatization paradigm, and recently, the concept of 'Platform Government'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Local governments also have been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public platforms in order to respond to residents’ complex and new public service demands ,to solve regional problems, as well as to bridge regional disparities.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addressed the general concept of such Platform Government as well as its major characteristics. It is also difficult to find successful cases of local administrative innovation involving the use of ICT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latform Government operation at the regional lev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platform situation and propose a Platform Government operation plan at the regional level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the region.
Firstly,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latform Government and varying types of public platforms. Moreover, a comprehensiv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to review the current opera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public platforms at the local level in S. Korea. By analyzing some exemplary international cases and interviews with private platform companies, the success factor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consider when designing and operating such platforms as well as some of the obstacles that government may face, are identified. Finally,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Platform Government at the local level are suggested.
Chapter 2 provide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Platform Government. The Platform Government is defined as “an open arena where civil servants, businesses, and citizens can participate together to share vast data and create new public values as well as innovatio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using various ICT-based cooperative technologies.
The public platform which is considered a core mechanism of Platform Government can be categorized based on the core function, policy decisions, and flow and direction of administrative services. The commonly used ones include information-providing platforms, policy proposal platforms, and private platforms connecting capacity gaps to expertise.
Chapter 3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overall status of public platform utilization in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ose three public platform types. Chapter 4 presents an in-depth case analysis of some selected local cases, including the ‘Bus Information System’ of Gyeonggi-do, the ‘Big Forest for Participation (local citizen participation platform)’ of Eunpyeong-gu, Seoul, and the ‘Special Delivery (food delivery platform)’ and ‘Fair Purchasing Platform (public procurement platform)’ of Gyeonggi’. The level of the public platform utilization at the local level, the percep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regarding public platform utilization, and the public platform success factors and obstacles at the local level were empirically analyzed.
In Chapter 5, another in-depth case analysis on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was conducted, including 'Smart Nation' in Singapore, 'Talk London' in London, UK, and 'Amsterdam Smart City Platform' in Amsterdam, Netherlands. Chapter 6 provide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on private platform companies: ‘Carrot Market (used product trading platform)’, ‘Gangnam Unni (beauty and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and ‘Bae Min (food delivery platform)’, which are ranked first in each industry. Various successful strategie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public and private platforms were suggested.
Chapter 7 presents the local government Platform Government operation strategy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 Platform Government support plan.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addressed the general concept of such Platform Government as well as its major characteristics. It is also difficult to find successful cases of local administrative innovation involving the use of ICT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Platform Government operation at the regional leve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platform situation and propose a Platform Government operation plan at the regional level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the region.
Firstly,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latform Government and varying types of public platforms. Moreover, a comprehensiv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to review the current opera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public platforms at the local level in S. Korea. By analyzing some exemplary international cases and interviews with private platform companies, the success factor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consider when designing and operating such platforms as well as some of the obstacles that government may face, are identified. Finally, strate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Platform Government at the local level are suggested.
Chapter 2 provide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Platform Government. The Platform Government is defined as “an open arena where civil servants, businesses, and citizens can participate together to share vast data and create new public values as well as innovation for solving social problems using various ICT-based cooperative technologies.
The public platform which is considered a core mechanism of Platform Government can be categorized based on the core function, policy decisions, and flow and direction of administrative services. The commonly used ones include information-providing platforms, policy proposal platforms, and private platforms connecting capacity gaps to expertise.
Chapter 3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overall status of public platform utilization in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ose three public platform types. Chapter 4 presents an in-depth case analysis of some selected local cases, including the ‘Bus Information System’ of Gyeonggi-do, the ‘Big Forest for Participation (local citizen participation platform)’ of Eunpyeong-gu, Seoul, and the ‘Special Delivery (food delivery platform)’ and ‘Fair Purchasing Platform (public procurement platform)’ of Gyeonggi’. The level of the public platform utilization at the local level, the percep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regarding public platform utilization, and the public platform success factors and obstacles at the local level were empirically analyzed.
In Chapter 5, another in-depth case analysis on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was conducted, including 'Smart Nation' in Singapore, 'Talk London' in London, UK, and 'Amsterdam Smart City Platform' in Amsterdam, Netherlands. Chapter 6 provide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on private platform companies: ‘Carrot Market (used product trading platform)’, ‘Gangnam Unni (beauty and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and ‘Bae Min (food delivery platform)’, which are ranked first in each industry. Various successful strategie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public and private platforms were suggested.
Chapter 7 presents the local government Platform Government operation strategy as well as the local government Platform Government support plan.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