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역발전>지역개발
기본보고서
공공도서관의 수요추정 모형 개발
visibility 39,560 file_download 2,310
영문제목 | A Study on Public Library Demand Estimation |
---|---|
연구자 | 김제국,함윤주 |
발간연도 | 2021 |
다운로드 | 공공도서관의 수요추정 모형 개발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전통적인 기능인 도서관 자료를 중심으로 한 지식정보 제공 및 학습의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구성원을 위한 문화공간으로서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수행 역할과 기능의 확장에 따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높이기 위한 국민기초시설인 생활 SOC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그 결과 2020년 기준, 생활 SOC 사업에 선정된 289개 사업 중 160개 사업이 공공도서관 및 작은 도서관 사업이 포함된 사업이었다. 특히 공공도서관이 포함된 사업은 73개이며, 국비지원 규모는 2,031억 원에 달하였다.
최근에는 생활 SOC뿐 아니라 기존 도서관의 노후화 및 리모델링, 신도시 건설에 따른 도서관 신규 건립 등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공도서관 추진 사업 건수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에 대해 투자심사 전에 이행해야 하는 「지방재정법」 제37조에 의한 타당성 조사 의뢰 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타당성 조사의 핵심이 되는 도서관 수요 추정에 대한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 수요추정 방법론과 관련해서는 『문화체육관광 타당성 조사를 위한 지침 연구』(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에 제시된 다양한 방법을 참고할 수 있으나, 공공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방법론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부재한 상황이다. 함윤주 외(2019)에서는 중력 모형으로 안양시에 위치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나, 공공도서관 관련 수요 추정에 대한 기초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이용수요의 특징과 기존에 연구된 수요추정방법을 검토하고, Microeconometrics(Program evaluation) 접근법과 Data science 접근법을 통하여 도서관 운영 시 다양한 특성들이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궁극적으로 이용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수요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국가공공도서관통계에서 방대한 양의 도서관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XGboosting 등을 포함하는 기계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앞으로 타당성 조사에 사용이 가능한 도서관 방문자 수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예측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데이터 내 변수들의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방문자 수를 공공도서관 제공의 충격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아 공공도서관 건립의 정책 충격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도서관에 관한 패널 자료가 미처 고려하지 못한 변수 중 분석 단위에 따라 변하나 시간에는 변하지 않는 변수와 시간에 따라 변하나 지정된 시간에는 분석 단위에 따라서는 변하지 않는 변수들을 제어하여 이 변수들의 제외 편의를 다루는 fixed effects 모형을 사용하여 목표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서울에서는 도서관 방문자 수 증가를 목표로 할 때 신규 도서관 제공보다는 먼저 기존 도서관의 좌석 수와 장서 수를 늘리는 것을 고려하고 현재 해당 구 내 도서관의 수용 능력이 그 고려에 미치지 못할 때 신규 도서관 건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최근에는 생활 SOC뿐 아니라 기존 도서관의 노후화 및 리모델링, 신도시 건설에 따른 도서관 신규 건립 등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공도서관 추진 사업 건수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대규모 사업에 대해 투자심사 전에 이행해야 하는 「지방재정법」 제37조에 의한 타당성 조사 의뢰 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타당성 조사의 핵심이 되는 도서관 수요 추정에 대한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 수요추정 방법론과 관련해서는 『문화체육관광 타당성 조사를 위한 지침 연구』(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에 제시된 다양한 방법을 참고할 수 있으나, 공공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방법론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부재한 상황이다. 함윤주 외(2019)에서는 중력 모형으로 안양시에 위치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나, 공공도서관 관련 수요 추정에 대한 기초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의 이용수요의 특징과 기존에 연구된 수요추정방법을 검토하고, Microeconometrics(Program evaluation) 접근법과 Data science 접근법을 통하여 도서관 운영 시 다양한 특성들이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궁극적으로 이용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수요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국가공공도서관통계에서 방대한 양의 도서관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XGboosting 등을 포함하는 기계학습 방법을 사용하여 앞으로 타당성 조사에 사용이 가능한 도서관 방문자 수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예측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데이터 내 변수들의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방문자 수를 공공도서관 제공의 충격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아 공공도서관 건립의 정책 충격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도서관에 관한 패널 자료가 미처 고려하지 못한 변수 중 분석 단위에 따라 변하나 시간에는 변하지 않는 변수와 시간에 따라 변하나 지정된 시간에는 분석 단위에 따라서는 변하지 않는 변수들을 제어하여 이 변수들의 제외 편의를 다루는 fixed effects 모형을 사용하여 목표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서울에서는 도서관 방문자 수 증가를 목표로 할 때 신규 도서관 제공보다는 먼저 기존 도서관의 좌석 수와 장서 수를 늘리는 것을 고려하고 현재 해당 구 내 도서관의 수용 능력이 그 고려에 미치지 못할 때 신규 도서관 건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Public libraries nowadays are playing a role of cultural space for local communities while still performing their traditional function of providing local people with knowledge information through library materials. This expansion in library functions makes a public library an axis of life. As a result, 160 of the 289 projects selected for the SOC project in 2020 included public library and small library projects. In particular, 73 projects among them included public libraries, and the government aid amounted to 233.1 billion won.
Moreover, the need to remodel old and aging libraries and the demand for new libraries in new town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public library projects with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number of requests for feasibility studies under Article 37 of the Local Finance Act, which must be implemented before the investment examination,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ppropriate methodology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library demand estimation which is the core of feasibility study. Although one can find a list of methods for demand estimation in 『Guidance for feasibility study for cultural / sports / tour investment projects』(Local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2016), it would be better if the list included methods specific to public library feasibility study than otherwise. Ham Yun-ju et al.(2019)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demand estimation for public libraries located in Anyang city through a gravity model,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estimation of demand related to public libraries.
This study reviewed the features imposing impacts on the library demand and the existing method of estimating demand, and developed models that predict the demand for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microeconometrics (program evaluation) and the data science. Since the National Public Library Statistics provides a vast amount of library-related data, we have constructed a library-visitor-prediction model that can be used for feasibility studies in the future by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including XGboosting. Also, the importance of variables in data was considered through measuring their contribution on making the prediction value.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 library provision using the number of visitors as a measure of the impact. To this end, we used a fixed effect model that is a method for controlling for omitted variables in panel data when the omitted variables vary across entities but do not change over time.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when investing in the library system of interest we should first consider increasing the number of seats and collections of the existing libraries. Further, the construction of a new library should be legitimate only if the capacity of the library system is short.
Moreover, the need to remodel old and aging libraries and the demand for new libraries in new town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public library projects with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e number of requests for feasibility studies under Article 37 of the Local Finance Act, which must be implemented before the investment examination,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ppropriate methodology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library demand estimation which is the core of feasibility study. Although one can find a list of methods for demand estimation in 『Guidance for feasibility study for cultural / sports / tour investment projects』(Local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2016), it would be better if the list included methods specific to public library feasibility study than otherwise. Ham Yun-ju et al.(2019)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demand estimation for public libraries located in Anyang city through a gravity model,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estimation of demand related to public libraries.
This study reviewed the features imposing impacts on the library demand and the existing method of estimating demand, and developed models that predict the demand for public libraries through the microeconometrics (program evaluation) and the data science. Since the National Public Library Statistics provides a vast amount of library-related data, we have constructed a library-visitor-prediction model that can be used for feasibility studies in the future by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including XGboosting. Also, the importance of variables in data was considered through measuring their contribution on making the prediction value.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a library provision using the number of visitors as a measure of the impact. To this end, we used a fixed effect model that is a method for controlling for omitted variables in panel data when the omitted variables vary across entities but do not change over time. As a result, we concluded that when investing in the library system of interest we should first consider increasing the number of seats and collections of the existing libraries. Further, the construction of a new library should be legitimate only if the capacity of the library system is sh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