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방자치>지방행정일반
기본보고서
지방자치단체 중간지원조직의 지속가능성 제고방안 연구
visibility 46,055 file_download 5,059
영문제목 | A Study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Interim Support Organizations in Metropolitan/Local Governments in Korea |
---|---|
연구자 | 최인수, 전대욱 |
발간연도 | 2020 |
다운로드 | 지방자치단체 중간지원조직의 지속가능성 제고방안 연구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본 연구는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 정책추진 및 행정서비스 모델로 주목받고 있는 중간지원조직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설립과 운영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정책사업과 지역별로 설립된 중간 지원조직에 관한 법제도적 근거(조례 포함) 및 정책 현황, 조직특성 등 중간지원조직의 운영적 측면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간지원조직의 정의에 대해 국내・외 연구성과를 비교 검토하였고, 국내・외 중간지원조직의 사례 분석, 중간지원조직 관련 전문가 대상 인터뷰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종합해 보면, 중간지원조직은 행정・정책・사회서비스 제공이 중앙정부에서 지방 정부로, 지방정부에서 민간영역(중간지원조직)으로 전환됨에 따라 파트너십과 네트워크로 결속된 조직적 대안이자 필요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지속가능한 중간지원조직을 위한 행정환경 조성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지속가능성에 대해 사회적 소명(공공 및 공익성), 독립성・자립성(민주성), 재정 건전성(효과성)으로 정의 내려졌다.
중간지원조직 지원에 대한 국내・외 정책 현황을 분석하면서, 특히 우리나라 중간지원 조직 지원 정책이 지역공동체,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및 지역활력 제고 등 정책사업 중심으로 탄생과 활성화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한편 중간지원조직의 유형을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중간지원조직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설립・운영의 기본방향 으로서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중간지원조직 개념 기준 정립 및 제도적 기반 조성, 중간지원 조직의 법적 지위 재규정, 중간지원조직의 민주적 운영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 사업 추진 및 기관 운영 등 관련 제도 및 조례의 상향식 정비를 제시하였다.
또한, 행정・재정적 지원 측면에서는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공공부문의 재정 지원 확대, 중간지원조직-행정 간, 민간협약제 도입으로 협력적 관계 정립, 중간지원조직의 운영 자율성 보장을 위한 재정적 자립기반 강화, 예산 및 사업계획 승인 절차 간소화, 운영 주체별 지원 방향 및 주요 지원사업의 명확화를 제시하였으며, 중간지원조직 역량강화 측면에서는 중간지원조직 성과의 측정과 평가의 개선 필요성, 중간지원조직의 민주적 역량 증진을 위한 개방적 운영체계 확립, 중간지원조직의 전문성 강화, 광역 단위의 중간지원체제 구축, 기초 단위의 현장밀착형 지원조직으로서의 역량 강화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간지원조직의 협력네트워크 강화 측면에서는 중간지원조직 간 연계 촉진을 통한 협력 강화, 행정과 중간지원조직 간 네트워크 강화 및 신뢰 기반의 파트너십 조성, 중간지원조직과 외부자원 간 네트워크 구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연구를 종합해 보면, 중간지원조직은 행정・정책・사회서비스 제공이 중앙정부에서 지방 정부로, 지방정부에서 민간영역(중간지원조직)으로 전환됨에 따라 파트너십과 네트워크로 결속된 조직적 대안이자 필요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지속가능한 중간지원조직을 위한 행정환경 조성으로 이어지게 되었고, 지속가능성에 대해 사회적 소명(공공 및 공익성), 독립성・자립성(민주성), 재정 건전성(효과성)으로 정의 내려졌다.
중간지원조직 지원에 대한 국내・외 정책 현황을 분석하면서, 특히 우리나라 중간지원 조직 지원 정책이 지역공동체, 사회적경제, 도시재생 및 지역활력 제고 등 정책사업 중심으로 탄생과 활성화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한편 중간지원조직의 유형을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중간지원조직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설립・운영의 기본방향 으로서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중간지원조직 개념 기준 정립 및 제도적 기반 조성, 중간지원 조직의 법적 지위 재규정, 중간지원조직의 민주적 운영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 사업 추진 및 기관 운영 등 관련 제도 및 조례의 상향식 정비를 제시하였다.
또한, 행정・재정적 지원 측면에서는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공공부문의 재정 지원 확대, 중간지원조직-행정 간, 민간협약제 도입으로 협력적 관계 정립, 중간지원조직의 운영 자율성 보장을 위한 재정적 자립기반 강화, 예산 및 사업계획 승인 절차 간소화, 운영 주체별 지원 방향 및 주요 지원사업의 명확화를 제시하였으며, 중간지원조직 역량강화 측면에서는 중간지원조직 성과의 측정과 평가의 개선 필요성, 중간지원조직의 민주적 역량 증진을 위한 개방적 운영체계 확립, 중간지원조직의 전문성 강화, 광역 단위의 중간지원체제 구축, 기초 단위의 현장밀착형 지원조직으로서의 역량 강화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간지원조직의 협력네트워크 강화 측면에서는 중간지원조직 간 연계 촉진을 통한 협력 강화, 행정과 중간지원조직 간 네트워크 강화 및 신뢰 기반의 파트너십 조성, 중간지원조직과 외부자원 간 네트워크 구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This study is first aiming at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the sustainability of ISOs (Interim Support Organizations) in Korea, which are designed as taking the role of policy promotion and administrative service models between ordinary citizens and metropolitan/local governments, and second, aiming at providing basic directions for an establishment of ISOs and operation to enhance their sustainabil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operational aspects of ISOs in Korea, such as the legal basis (including ordinances), policy statu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for policy projects by region. The definitions of ISOs were reviewed by compa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erformances,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ISOs especially in the field of some places where public-private governance or partnership is strongly needed, and interviews with experts related to existing ISOs in KOREA were conducted.
Briefly, ISOs in KOREA have emerged as organizational alternatives and necessary elements combined with partnerships and networks as the provision of administrative, policy and social services has shifted from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eventually to private sector. This led to the creation of an administrative environment for sustainable ISOs in Korea and the introduction of ISOs in various regions and localities was performed as social responsibility (publicity and public interest), independence and autonomy (democracy), and fiscal soundness (effectiveness).
During the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on fostering ISOs,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efforts of ISOs in Korea were focused mainly on policy projects such as community building and rebuilding,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urban and regional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authors reviewed the types of ISOs through the past studies in KOREA, moreover, elaborates the principles of such organiztions, and propose top-down maintenance of related systems and ordinances, including establishing standards for ISOs, redefining legal status of the organizations, establishing legal foundations for democratic operation of ISOs, and operating the institutions.
In term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ISOs by metropolitan/local governments, cooperative relationship has to be first establish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mutual support systems between the governments and relevant ISOs, and also has to be presented fiscal foundations for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ISOs to guarantee their autonomy. ISOs need metropolitan/local governments to simplify the planning process of the budget and the approval procedures of their annual business plans, also need the governments to clarify the key strategic focus of ISOs and major support projects by operating entity.
The Authors moreover present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ISOs in KOREA the need to improve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the organizations, to establish an open operating system to promote democratic capabilities of ISOs, to find an intermediate support system for metropolitan units, and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on-site support for the private sector in regions and localities.
Finally,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network for ISOs, it should be organized by strengthening cooperation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organizations, by strengthening the network between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ISOs, and by establishing a trust-based network between the organizations and various external resources.
Briefly, ISOs in KOREA have emerged as organizational alternatives and necessary elements combined with partnerships and networks as the provision of administrative, policy and social services has shifted from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eventually to private sector. This led to the creation of an administrative environment for sustainable ISOs in Korea and the introduction of ISOs in various regions and localities was performed as social responsibility (publicity and public interest), independence and autonomy (democracy), and fiscal soundness (effectiveness).
During the study of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on fostering ISOs,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efforts of ISOs in Korea were focused mainly on policy projects such as community building and rebuilding,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urban and regional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authors reviewed the types of ISOs through the past studies in KOREA, moreover, elaborates the principles of such organiztions, and propose top-down maintenance of related systems and ordinances, including establishing standards for ISOs, redefining legal status of the organizations, establishing legal foundations for democratic operation of ISOs, and operating the institutions.
In term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ISOs by metropolitan/local governments, cooperative relationship has to be first establish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mutual support systems between the governments and relevant ISOs, and also has to be presented fiscal foundations for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ISOs to guarantee their autonomy. ISOs need metropolitan/local governments to simplify the planning process of the budget and the approval procedures of their annual business plans, also need the governments to clarify the key strategic focus of ISOs and major support projects by operating entity.
The Authors moreover present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ISOs in KOREA the need to improve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the organizations, to establish an open operating system to promote democratic capabilities of ISOs, to find an intermediate support system for metropolitan units, and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on-site support for the private sector in regions and localities.
Finally,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network for ISOs, it should be organized by strengthening cooperation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organizations, by strengthening the network between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ISOs, and by establishing a trust-based network between the organizations and various external resources.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