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방자치>지방행정일반
기본보고서
문제해결형 사회혁신 실현방안
visibility 40,239 file_download 3,037
영문제목 | Realization Plan for a Problem-solving Social Innovation |
---|---|
연구자 | 최지민,강영주 |
발간연도 | 2019 |
다운로드 | 문제해결형 사회혁신 실현방안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본 연구는 2단계에 걸쳐 문제해결형 사회혁신의 실현방안을 한국의 맥락과 공간적 이해 하에서 제안하고 있다.
1단계는 사회혁신의 적용을 위한 환경에 대한 이해단계이다. 환경의 이해는 ①작동맥락과 ②작동공간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였다. “작동맥락분석”은 한국에서 사회혁신적 속성을 가진 시도들이 어떻게 발전했으며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 그리고 행정의 영역에서 “사회혁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중앙-지방의 사업들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문제해결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요소가 편중되어 있으며 효과적인 해결방안에 대한 사항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맥락적으로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으며 현재의 사회혁신 추진과정에서도 정부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므로 사회혁신의 추진을 위한 정부의 적정역할,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가의 강력한 영향력 하에 사회혁신의 유용성이 얼마나 확보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지속가능한지를 다시금 확인하였다.
한편 “작동공간분석”은 지역의 공간적에서 발생하는 주요이슈의 확인과 지역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사회혁신전략 수립을 위한 지역의 특성을 거시지표를 통해 살펴보았다. 지역간 격차가 크게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혁신적 토대는 주로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있으며 대부분의 군단위는 공공, 민간의 여건이 좋지 않아 사회혁신적 시도가 성공하기는 상당한 제약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의 특성별로 차별적 사회혁신전략 마련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2단계는 문제해결형 사회혁신의 개념화와 이를 토대로 한 실행방안도출단계이다. 환경적 이해를 통해 확인된 내용을 토대로 사회혁신이 본래의 문제해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였다. 전략적방향은 ①지역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사회혁신전략 마련, ②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기반조성 등이다. 각 전략별로 세부실행방안을 검토하여 문제해결형 사회혁신의 온오프 라인의 실행과제를 제시하였다.
1단계는 사회혁신의 적용을 위한 환경에 대한 이해단계이다. 환경의 이해는 ①작동맥락과 ②작동공간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였다. “작동맥락분석”은 한국에서 사회혁신적 속성을 가진 시도들이 어떻게 발전했으며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 그리고 행정의 영역에서 “사회혁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중앙-지방의 사업들은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문제해결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요소가 편중되어 있으며 효과적인 해결방안에 대한 사항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맥락적으로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으며 현재의 사회혁신 추진과정에서도 정부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므로 사회혁신의 추진을 위한 정부의 적정역할,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가의 강력한 영향력 하에 사회혁신의 유용성이 얼마나 확보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지속가능한지를 다시금 확인하였다.
한편 “작동공간분석”은 지역의 공간적에서 발생하는 주요이슈의 확인과 지역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사회혁신전략 수립을 위한 지역의 특성을 거시지표를 통해 살펴보았다. 지역간 격차가 크게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혁신적 토대는 주로 수도권 지역에 집중되어있으며 대부분의 군단위는 공공, 민간의 여건이 좋지 않아 사회혁신적 시도가 성공하기는 상당한 제약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의 특성별로 차별적 사회혁신전략 마련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2단계는 문제해결형 사회혁신의 개념화와 이를 토대로 한 실행방안도출단계이다. 환경적 이해를 통해 확인된 내용을 토대로 사회혁신이 본래의 문제해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 필요한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였다. 전략적방향은 ①지역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사회혁신전략 마련, ②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기반조성 등이다. 각 전략별로 세부실행방안을 검토하여 문제해결형 사회혁신의 온오프 라인의 실행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two ways to realize problem-solving social innovation under the historical contex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spatial characteristics.
The first stage is an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for the application of social innov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included an analysis of ① context and ② operational space. The context analysis analyzes how attempts with socially innovative properties have developed in Korea, what theoretical discussion focuses on, and what central-provincial projects use the term “social innovation” in the area of public administration. It was confirmed whether it was developing in an aspec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re biased, and the effective solution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context, the role of government is very important and the influence of government is very strong in the current process of social innovation.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set the proper role and scope of government for the promotion of social innovation. This reaffirms how useful, and how sustainable, social innovation can be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the state.
On the other hand, “Operational Space Analysi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o identify major issues arising from the spatial space of the region and to establish social innovation strategies that meet local demand through macro indica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large gap between regions. Social-innovative foundations are mainly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level do not create a sound climate for that. It seems to be considerable limitations on the success of social innovation attempts. The necessity of preparing a differentiated social innovation strategy for each region was derived.
The second stage is the conceptualization of problem-solving social innovation and implementation plan based on the analysis. We find that social innovation derived the strategic direction necessary for the achievement of the original problem solving. Strategic directions include ① preparing customized social innovation strategi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② creating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innovation. The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for each strategy were reviewed to present the on- and offline implementation tasks of problem-solving social innovation.
The first stage is an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for the application of social innov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included an analysis of ① context and ② operational space. The context analysis analyzes how attempts with socially innovative properties have developed in Korea, what theoretical discussion focuses on, and what central-provincial projects use the term “social innovation” in the area of public administration. It was confirmed whether it was developing in an aspec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re biased, and the effective solution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context, the role of government is very important and the influence of government is very strong in the current process of social innovation.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set the proper role and scope of government for the promotion of social innovation. This reaffirms how useful, and how sustainable, social innovation can be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the state.
On the other hand, “Operational Space Analysi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o identify major issues arising from the spatial space of the region and to establish social innovation strategies that meet local demand through macro indica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large gap between regions. Social-innovative foundations are mainly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level do not create a sound climate for that. It seems to be considerable limitations on the success of social innovation attempts. The necessity of preparing a differentiated social innovation strategy for each region was derived.
The second stage is the conceptualization of problem-solving social innovation and implementation plan based on the analysis. We find that social innovation derived the strategic direction necessary for the achievement of the original problem solving. Strategic directions include ① preparing customized social innovation strategi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② creating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innovation. The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for each strategy were reviewed to present the on- and offline implementation tasks of problem-solving social innovation.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