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연구과제
지방자치제도 전반에 대한 이론적・학문적・정책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장기 기초연구입니다.
menu
- 지방자치>지방행정일반
기본보고서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 역량강화 방안 연구: 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visibility 24,565 file_download 38,987
영문제목 | A Study on the Strength of Safety Management Capacity in Local Government |
---|---|
연구자 | 고경훈, 이병기 |
발간연도 | 2015 |
다운로드 |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 역량강화 방안 연구: 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file_download |
국문요약expand_more
영문요약expand_more
세월호 사고를 계기로 우리사회 전반에 걸친 안전의식 부족과 정부의 안전관리 역량의 부족함을 명확하게 확인하게 되었다. 현장에서 대응과 복구를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수준에서도 안전관리 역량부족으로 인한 늦장 대응과 그로 인한 피해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효율적인 안전관리역량을 강화하는데 연구목적을 둔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안전관리담당 업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안전관리역량의 우선순위 파악과 역량강화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의 수준별 차이와 기초자치단체간 지역별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는 위해서는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조작적 정의된 안전관리역량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안전관리 역량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안전관리 단계별로 각 항목의 개선순위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안전관리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관리 역량강화전략을 제시하였다.
예방단계에서는 IPA분석 결과 중점개선 영역은 안전의식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준비단계에서는 중점개선 영역은 재정 및 자원관리 역량과 협업 및 융합 역량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응단계에서는 중점개선 영역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점진개선 영역은 조기경보 역량과 대응복구장비 및 구호물자투입 역량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구단계에서는 점진개선 영역은 회복력 역량으로 나타났다.
첫째, 소속별(광역, 기초)로 안전관리에 대한 현재 보유 역량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초자치단체가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현재 보유역량이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렬별로는 행정직이 기술직에 비해 평균 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급별로는 평균 상으로 5급 이상보다는 6급 이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관리 역량의 중요도에 관한 평균비교 및 평균차이 검증결과로는 첫째,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의 필수역량 중요도에 있어서는 광역자치단체의 소속 공무원들이 필수역량 중요도에 대해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렬별, 경력별 필수역량 중요도 비교분석결과, 행정직과 기술직 모두 15개의 역량 가운데 상황전파 역량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직급별 필수역량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5급 이상은 기관장 리더십과 복구계획 역량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6급 이하는 상황전파 역량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예방단계에서는 IPA분석 결과 중점개선 영역은 안전의식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준비단계에서는 중점개선 영역은 재정 및 자원관리 역량과 협업 및 융합 역량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응단계에서는 중점개선 영역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점진개선 영역은 조기경보 역량과 대응복구장비 및 구호물자투입 역량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구단계에서는 점진개선 영역은 회복력 역량으로 나타났다.
첫째, 소속별(광역, 기초)로 안전관리에 대한 현재 보유 역량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초자치단체가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현재 보유역량이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렬별로는 행정직이 기술직에 비해 평균 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급별로는 평균 상으로 5급 이상보다는 6급 이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역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관리 역량의 중요도에 관한 평균비교 및 평균차이 검증결과로는 첫째,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의 필수역량 중요도에 있어서는 광역자치단체의 소속 공무원들이 필수역량 중요도에 대해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렬별, 경력별 필수역량 중요도 비교분석결과, 행정직과 기술직 모두 15개의 역량 가운데 상황전파 역량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직급별 필수역량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5급 이상은 기관장 리더십과 복구계획 역량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6급 이하는 상황전파 역량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In the wake the years Sae Wall Ho accident, it became clearly confirmed that the lack of safety management capacity of safety awareness lack of government over our society in general. Even in local government level, which is responsible for correspondence and recovery in the field are shown in vividly late response and it due to the damage caused by the lack of safety management capacity. In this study, to enhance the efficient safety management capacity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it puts the purpose of the researc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safety management in charge of business personnel in local governments, it was carried out IPA analysis to derive the understanding and capacity building measures of the priority of safety management capacity.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ce of each level of the wide area and municipality and foundation governments between regions was performed with t-Test and ANOVA. As a result, depending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has been safety management capacity, to determine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capacity of public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s, in step-by-step safety management, it presents a degree of improvement in each item, based on this to, was presented to strengthen strategy of safety management capability to ensure the safety management capacity at local governments level.In the prevention stage, IPA analysis emphasis improvement area, appeared on the ability of safety awareness, to the second, in the preparatory stage, emphasis improvement area became evident in financial and collaboration with the fusion ability of the resource management capability. Third, response procedures, emphasis improvement area, not displayed, progress improvement area, has become the early warning capability and the corresponding repair equipment and relief supplies input capability. Fourth, the recovery stage, progressive improvement area has a competence resilience.First, affiliation (wide area, foundation) to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urrent holding capacity for safety management, municipalities it was found to be generally high current holdings ability compared to the wide-area governments.Secondly, serial another administrative post is I was found to be higher average image capability compared to the technical positions.Thirdly, on the specific job class average and grade 5 or more 6 grade below it was found to exhibit a relatively high capacity.And as a verification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mean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safety management capacity, first, in the importance of the required capacity of between regional governments and municipalities, belonging to public officials of regional governments it i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required capacity it was found to be highly appreciated. Second, the serial star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importance of career stars essential capability analysis, of the 15 pieces of the ability of both administrative staff and technical positions, was most important recognition on the status radio capacity. Fourth,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job grade another essential ability, grade 5 or more is aware as has the highest importance leadership and recovery planning ability of the chief engineer, the most state radio competence 6 than Grade It had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