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Close Button
정기발간물
메뉴 더보기 메뉴 더보기

기타(과거자료)

국내지방자치동향 (~ 2019.12)

알림

국내지방자치단체들의 주요 움직임과 활발한 정책 수행에 대한 정보를 알려 드립니다.

전라남도 자체조직진단

조회수
6,498
저자
다운로드
파일없음

전라남도 자체조직진단

 

권오철(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위원)

 

. 자체조직진단의 개념

 

조직진단은 지방자치단체가 조직관리의 효율성과 행정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조직운영에 대한 분석작업을 말함

조직진단은 진단주체에 따라 외부 전문기관에 의한 외부조직진단과 내부 공무원들에 의한 자체조직진단으로 나눌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조직진단의 전문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외부조직진단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 전라남도의 경우 누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자체조직진단을 실시해 오고 있음

 

 

. 자체조직진단의 추진 개요

 

1. 2016년 추진방향

전라남도의 조직진단은 진단의 핵심인 사무량조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조직진단 담당부서이 주체가 되어 정량적 측면의 진단과 함께 조직구성원의 공감대를 높이기 위하여 비정량적 측면에 대한 다양한 보완조사를 함께 추진함

또한 진단결과에 대해서는 업무 및 인력조정, 부서 통폐합 등 조직운영에 반영하여 제도화 함으로써 조직진단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함

 

2. 추진개요

시감범위 : 2015.1 ~2015.12(1년간)

대상범위 : 312개 부서·담당 / 1,469(5급 이하)

진단방법 : 정량평가 기본, 정성평가 보완

추진절차

구분

기간

주요내용

기본계획 수립

’15. 9.

기본계획 수립(추진방향, 평가기법, 추진일정 등)

사전준비

’15. 10.

- 부서별, 노조 등 의견수렴

- 새로운 분석기법 도입검토

- 야근실태조사 정례화(‘15.9~’16.3)

기초자료수집

‘15. 12.

전자결재 목록 정비, 비전자문서 취합 분류

개인별 직무기술서 작성, 사무분장표 검토

정량평가

‘16. 2.

전자결재 및 대면결재 문서 계량화

실과별 고유지표 반영

개인별 직무기술서 분석, 유형화 등

정성평가

‘16. 3.

전임자 면담 실시

야근실태 분석 등

검증

‘16. 4.

노조 및 외부전문가 의견수렴

종합분석

‘16. 4.

종합분석 및 결과 반영방안 마련

활용

‘16. 하반기

제도화(조직개편 및 인사 반영)

 

3. 진단기법과 적용방법

(1) 정량평가

문서생산량조사

구분

주요 내용

조사방법

개인별 문서생산량을 계산식 대입, 업무시간 도출

대상기간

‘15. 1 ~ 12(1년간)

조사내용

문서생산량, 결재기준별 소요시간 부여, 업무관련 보고서 산출 등

실과 고유평가지표 적용

구분

주요 내용

적용지표

업무중 기획, 조사, 연구, 현지활동 등 기준시간 설정

적용방법

부서의 업무특성을 감안 적정여부 판단

불필요한 일 버리기 평가

구분

주요 내용

적용지표

업무중 발굴, 폐기건수를 감안한 평가 비율

적용방법

비율에 따라 3단계 평가

개별 직무기술서 유형화 진단

구분

주요 내용

대상범위

개인별, 부서별 연간 업무 처리량

유형영역

수행체계, 업무주기, 난이도, 결재권자

(2) 정성평가

전임자 면담

구분

주요 내용

면담인원

2(과장1, 직원1)

적용방법

업무량 적정성, 인력조정 필요성 등

야근실태평가

구분

주요 내용

점검시간

2(야근의 보편적 검증 가능 시간대)

점검방법

조직관리부서, 복무관리부서 조사요원 실과방문 / 야근 본래목적 수행여부 검토

 

 

. 자체조직진단의 성과

 

전라남도의 자체조직진단은 조직진단에서 정량적 접근방법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성적 접근방법을 포함하여 다양한 보완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음

- 물론 조직진단, 특히 정량진단이 가지는 한계를 여전히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지난 수년간의 정례진단을 통하여 그 한계를 보완해 나감으로써 자체진단역량의 내실화를 기하고 있음

이와 같은 정례적 조직진단의 노하우 구축과 함께 외부조직진단이 가지기 어려운 내부접근성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양한 진단방법을 접목시키고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하여 내부의 공감대를 이끌어 내고 있다는 측면에서 여타의 지방자치단체 조직진단과는 다른 독자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