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지방자치 관련분야의 지식교류를 위하여 자치행정, 지방재정ㆍ세제, 지역개발분야의 수준 있는 연구 논문들을 기고 받아 발간합니다.
분류
지방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통권 51호 2002.6
구분
기고논문
제3이탈리아 프라토지역의 산업전문화와 산업지구 발전
- 5,803
- 1,618
저자 |
권오혁·정병순 |
---|---|
발행일 |
2002.06 |
권 |
제16권 제1호 |
통권 |
51호 |
다운로드 |
제3이탈리아 프라토지역의 산업전문화와 산업지구 발전 |
이탈리아가 지역경제 개발에서 크게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제3이탈리아(Terza Italia)모델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생산체계에 기인한 바 크다. 제3이탈리아의 생산체계는 흔히 대량생산체계에 기반을 둔 포드주의적 생산라인과 달리, 많은 수의 전문 중ㆍ소기업들이 집적하여 수평적ㆍ수직적 산업네트워크를 발전시켜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 지역은 1960년대 이후 중화학공업이 장기 침체에 접어들던 무렵, 대기업으로부터 분리 신설되거나 오래된 농촌형 가족기업에서 발전된 소기업을 중심으로 급성장하였는데, 이제는 금속제품, 기계장비, 전자장비, 섬유 및 의류, 피혁, 목재가구, 도자기 등과 같이 전통적이며 장인적 성격을 갖는 고급 경공업제품 영역에서 세계적 생산기지로 성장하였다.
이곳의 산업지구들은, 이탈리아 경제학자들이 ‘영역적 생산체계’(territorial production system)라 부르듯이, 전체 생산공정의 각 단계별로 전문화된 중소기업들이 특정 지역에 광범하게 집적되어 있다. 특정 산업 부문의 전문 중소기업들이 일정한 지역에 집적하면서 지속적으로 분화, 확산되어 온 것이다. 그런 만큼 이들 산업지구의 기업들은 자신의 특화 산업에 대한 강력한 집단 정체성과 대외적 이미지를 통해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고, 이것이 제3이탈리아 경제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는 데 한몫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제3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산업지구인 프라토 지역의 산업발전과정을 뒷받침하는 요인을 분석하려 한다. 일반적으로 프라토 섬유·의류산업지구는 지역 기업들이 중심이 되어 산업발전에 성공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도시의 산업지구 개발은 기존의 공업단지 개발방식과는 상당한 정도로 차별화된 특성에 기초하여 새로운 형태의 경쟁력을 창출해 온 것 또한 사실이다.
여기서는 프라토 산업지구의 발전과정과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산업공간 조성의 새로운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해명하려 한다. 이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도 추진되고 있는 ‘밀라노프로젝트’와 같은 산업발전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도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같은 분류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지방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통권 51호
Globalization and Governance:A New Role f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Gess,Peter L
지방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통권 51호
Governing City-states in the 21st Century
Brasfield, James M
지방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통권 51호
A Study on the Alleviation of Fiscal Dispar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Young-Hee Lee
지방행정연구 제16권 제1호 통권 51호
행정학에서 방법론 교육의 현실과 과제
제갈 욱